Categories: 콘텐츠트렌드

2025 커피 가격 변동 대응, 해외는 어떻게?

브라질발 커피 생두 가격 폭등이 전 세계 카페 업계에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2025년 4월 기준 브라질산 아라비카 생두 가격은 전월 대비 27.4% 급등했다. 국제커피거래소(ICE) 보고에 따르면, 이는 브라질 현지의 이상 기후와 항만 물류 혼란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외 커피 체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격 상승 압박에 대응하고 있다. 한국의 주요 프랜차이즈와 독립 카페들은 콜롬비아, 케냐산 원두로의 수급 전환을 확대하는 한편, 블렌딩 비중을 늘리는 방식으로 원가 부담을 분산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국의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우간다산 원두 수입량은 최근 한 달간 15~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카페 체인들이 에티오피아와 베트남산 원두 비중을 확대하며 가격 급등을 방어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일본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 변화다. 편의점형 카페에서 500엔 이하 커피 제품에 대한 리뷰가 18% 증가하는 등,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뚜렷해지고 있다.

중국 시장에서는 현지 커피 브랜드들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대응하고 있다. ‘가격 동결’을 의미하는 ‘价格不变’ 해시태그의 사용량이 2주 만에 75% 증가했으며, 로컬 로스팅을 강조한 대체 메뉴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유럽에서도 위기 대응이 본격화되고 있다. 독일의 주요 카페 체인들은 아프리카산 원두 비중을 확대하는 한편, 매장 내 소규모 로스팅을 강조하며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스페인의 카페들은 아프리카산 로부스타 블렌딩을 늘리는 동시에, 커피 테이스팅 워크숍 등 교육형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프리미엄 카페들의 대응 방식이다. 이들은 원두 가격 상승을 위기가 아닌 기회로 전환하고 있다. 공급망 투명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원산지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가격 방어를 넘어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 계기로 활용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위기가 글로벌 커피 산업의 구조적 변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일 원산지 의존도를 낮추고 다변화된 수급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향후 핵심 과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 상승과 함께, 원산지보다는 가격과 맛의 균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coffeeandteamag

Recent Posts

[레시피] 오미자 블랙티 쿨러

오미자 블랙티 쿨러 Omija Black Tea Cooler 오미자의 새콤달콤한 과실의 향과 블랙티의 풍미를 조화롭게 경험할…

3일 ago

늦가을의 정취와 향미를 길게 누리는 방법

드림라이프 클래식, 창립 14주년 기념공연 11월 12일, 일산의 Cafe ‘경성레코드’에서     긴 장마와 늦더위로…

7일 ago

소박하지만 알차고 당찬 커핑대회가 열린다

커피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에 다가가기 위한 커핑대회가 열린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전국식음료경진대회 '커핑_다른 맛을 찾아라'가…

1주 ago

말코닉, 하이엔드 홈 에스프레소 시장 본격 진출

세계적인 커피 그라인더 브랜드 말코닉(Mahlkönig)이 가정용 에스프레소 머신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독일의 제니아(Xenia Espresso)를 인수한…

1주 ago

Cropster, 한국 커피 소프트웨어 기업 ‘Firescope’ 인수

아시아 소규모 로스터리 시장 공략 본격화   글로벌 커피 소프트웨어 기업 Cropster가 한국의 로스터리 전용…

3주 ago

라떼와 함께 누리는 달달고소한 한가을 정취

스타벅스 코리아, ‘라떼 페스타’ 전국 동시 진행 중 라떼 5천만 잔 돌파 기념행시, 13일부터 29일까지…

3주 ago